실버2
https://www.acmicpc.net/problem/9184
문제
재귀 호출만 생각하면 신이 난다! 아닌가요?
다음과 같은 재귀함수 w(a, b, c)가 있다.
if a <= 0 or b <= 0 or c <= 0, then w(a, b, c) returns:
1
if a > 20 or b > 20 or c > 20, then w(a, b, c) returns:
w(20, 20, 20)
if a < b and b < c, then w(a, b, c) returns:
w(a, b, c-1) + w(a, b-1, c-1) - w(a, b-1, c)
otherwise it returns:
w(a-1, b, c) + w(a-1, b-1, c) + w(a-1, b, c-1) - w(a-1, b-1, c-1)
위의 함수를 구현하는 것은 매우 쉽다. 하지만, 그대로 구현하면 값을 구하는데 매우 오랜 시간이 걸린다. (예를 들면, a=15, b=15, c=15)
a, b, c가 주어졌을 때, w(a, b, c)를 출력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.
입력
입력은 세 정수 a, b, c로 이루어져 있으며, 한 줄에 하나씩 주어진다. 입력의 마지막은 -1 -1 -1로 나타내며, 세 정수가 모두 -1인 경우는 입력의 마지막을 제외하면 없다.
출력
입력으로 주어진 각각의 a, b, c에 대해서, w(a, b, c)를 출력한다.
제한
- -50 ≤ a, b, c ≤ 50
예제 입력
1 1 1
2 2 2
10 4 6
50 50 50
-1 7 18
-1 -1 -1
예제 출력
w(1, 1, 1) = 2
w(2, 2, 2) = 4
w(10, 4, 6) = 523
w(50, 50, 50) = 1048576
w(-1, 7, 18) = 1
자바 코드
package practice;
import java.io.BufferedReader;
import java.io.BufferedWriter;
import java.io.InputStreamReader;
import java.io.OutputStreamWriter;
import java.util.ArrayDeque;
import java.util.Arrays;
import java.util.Deque;
import java.util.StringTokenizer;
public class Main {
static int[][][] map = new int[101][101][101];
public static void main(String[] args) throws Exception {
BufferedReader br = new BufferedReader(new InputStreamReader(System.in));
while (true) {
StringTokenizer st = new StringTokenizer(br.readLine());
int a = Integer.parseInt(st.nextToken());
int b = Integer.parseInt(st.nextToken());
int c = Integer.parseInt(st.nextToken());
if (a==-1 && b==-1 && c==0-1) {
break;
}
int result = w(a, b, c);
System.out.println("w(" + a + ", " + b + ", " + c +") = " + result);
}
}
public static int w(int a, int b, int c) {
if (a <= 0 || b <= 0 || c<=0) {
map[a+50][b+50][c+50] = 1;
return 1;
}
if (a > 20 || b > 20 || c > 20) {
if (map[a+50][b+50][c+50] != 0) {
return map[a+50][b+50][c+50];
} else {
map[a+50][b+50][c+50] = w(20, 20, 20);
return map[a+50][b+50][c+50];
}
}
if (a < b && b < c ) {
if (map[a+50][b+50][c+50] != 0) {
return map[a+50][b+50][c+50];
} else {
map[a+50][b+50][c+50] = w(a, b, c-1) + w(a, b-1, c-1) - w(a,b-1,c);
return map[a+50][b+50][c+50];
}
}
if (map[a+50][b+50][c+50] != 0) {
return map[a+50][b+50][c+50];
} else {
map[a+50][b+50][c+50] = w(a-1, b, c) + w(a-1, b-1, c) + w(a-1, b, c-1) - w(a-1, b-1, c-1);
return map[a+50][b+50][c+50];
}
}
}
PS
가장 기초적인 동적계획법(Dynamic Programming)을 사용했다. 하향식(Bottom-up)을 사용하고, 메모이제이션( memoization)으로 이전에 계산했던 값은 배열에 저장해두고, 다시 호출하게 되면 굳이 계산하지 않고 배열에 저장된 값을 리턴한다.
'개발 > 백준' 카테고리의 다른 글
백준 1541: 잃어버린 괄호 (그리디 알고리즘) -Java (0) | 2024.05.26 |
---|---|
백준 28279: 덱 2 -Java (0) | 2024.05.26 |
백준 18258: 큐 2 -Java (1) | 2024.05.26 |
백준 28278: 스택2 -Java (0) | 2024.05.25 |
백준 1181: 단어 정렬 -Java (0) | 2024.05.25 |